Details

김용경 작가는 자신의 흔들리는 신념 가운데 겪는 공포를 이겨내고 있는 본인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작업들을 해오고 있으며, 몸과 마음과 정신은 연결되어 있으나 하나는 아니라는 주제로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자신의 네러티브를 작품에 구현하기 위한 소재로 인체를 주로 다루지만, 작가의 작품의 인체들은 대부분 머리가 없다. 작가의 작업에서 몸과 머리의 분리는 역설적으로 흔들리는 에고와 신념을 통합적으로 재인식하기 위한 조형언어를 재구축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본인이 해오고 있는 신념에 대한 싸움을 극복하기 위해 꿈이나 신화 속의 비현실적인 소재들을 취하기도 하는데, 그의 작품 중 ‘이켈로스(Icelus)와 판타소스(Phantasus)’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켈로스(Icelus)와 판타소스(Phantasus)는 잠의 신 힙노스(Hypnos)의 아들로 꿈을 관장하는 신들이다. 전자는 동물을, 후자는 무생물(inanimate things)의 형상을 꿈에서 만들어 낸다. 금박을 한 몸통 위에 각각 머리 대신 날개를 펼친 새와 산호를 얹고 있는 이 작품은 상상 속에 존재하거나 신화 속에 등장하는 반인반수처럼 머리 대신 새나 산호와 같은 동식물 등이 자리를 잡아 신비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김용경 작가는 그리스 신화의 이켈로스와 판타소스 라는 신들을 통해 인간의 탈 인격화를 추구하고자 하며, “작품 <이켈로스와 판타소스>(2022)에서 나는 인간과 동물 또는 인간과 사물 그 중간 어디인가에서, 현실이 아닌 꿈에서 메신저 역할을 하면서 방황하고 있는 그 '무엇'을 통해 개인개인의 마음과 몸과 정신의 중간지점이 어디인지 질문을 던진다. 이는 온전한 인격체로서 완성되고 완벽한 인간에 대한 저항이며 이것은 그렇지 못한 누군가에게 보내는 한줌의 위로”라고 이야기한다. 김용경 작가의 작업들은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을 주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작가가 표현하는 인체의 매끄러운 곡선을 표현하는 데에 우레탄 레진이 가진 물성이 여기에 극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History

김용경 Yongkyoung Kim (B.1971)


EDUCATION

1999     Master of Fine Arts in School of Visual Art, New York, U.S.

1996     Master of Fine Arts in Department of Sculptur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94     Bachelor of Fine Arts in Department of Sculptur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OLO EXHIBITIONS

2023     Gallery Woong, Seoul, Korea

2020     Gallery Woong, Seoul, Korea

2017     Gallery Woong, Seoul, Korea

2003     ALT Space Loop,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2022     “Empty (Tung)”, MAF, Seoul, Korea

2019     “Total Support for TOTAL MUSEUM”, TOTAL MUSEUM, Seoul, Korea

2018     “One winter, daydream of afternoon”, 148 Art square, Youngjoo, Korea 

               “Total Support for TOTAL MUSEUM”, TOTAL MUSEUM, Seoul, Korea 

               “Smaller than a face”, Artspace plasque, Seoul, Korea

2011     “Move on Asia The End of Video Art 2001-2010”, Casa Asia, Barcelona, Spain

2010     “Faculty Show”, Topohaus, Seoul, Korea

2006     “Give Voice To Your Love”, Tea Room, Seoul, Korea 

              “Castaway”, Dongduk Art Gallery, Seoul, Korea

2005     “Seoul Young Artists Awards-Portfolio 2005”,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4     “Move on Asia-Animation & Single Channel Video Art Festival”, SBS Atrium, Seoul, Korea 

              “SeMA2004”,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Out The Window-Spaces of Distraction”, Space Zip, Seoul, Korea 

2003     “Out The Window-Spaces of Distraction”, The Japan Foundation Asia Center, Tokyo, Japan

2002     “Hybrid”, Williamsburg Art & History Center, New York, U.S.

2001     “Spunky”, Exit Art, New York, U.S. 

              “fRoliC”, B3/Video Lounge, New York, U.S. 

              “Crossing the Line”, Queens Museum of Art, New York, U.S. 

              “Video Spill”, Multimedia Center, Stetson University , DeLand, Florida, U.S.

2000     “Collage-Feast for The Senses”, The Loft Theater, Brooklyn, U.S.

1999     “Voyeurism-Video Screening”, Video Lounge, New York, U.S.

1998     “Object:Drawing”, Visual Arts Gallery, New York, U.S.

1996     “Young Generation Special Show”, Korean Cultural Center, Seoul, Korea

1995     “Utility-The Translation”, Godot Gallery, Seoul, Korea